본문 바로가기
생활정보

찜통더위 속 온열질환 예방법

by ej5990 2025. 7. 25.
반응형

 

찜통더위가 계속되면서 온열질환 위험도 증가하고 있습니다. 예방수칙과 응급 대처법을 꼭 확인하세요.

온열질환이란 무엇인가요?

온열질환은 높은 기온과 습도 환경에 장시간 노출되었을 때 체온 조절이 어려워지면서 발생하는 질환입니다. 우리 몸은 땀을 통해 열을 배출하지만, 너무 더운 환경에서는 이 기능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아 체온이 비정상적으로 올라가게 됩니다. 이로 인해 열사병, 열탈진, 열경련, 열실신 등 다양한 형태로 신체 이상 반응이 나타납니다.

특히 어린이, 노인, 만성질환자는 체온 조절 능력이 떨어지기 때문에 더욱 쉽게 영향을 받을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.

찜통더위 속 생활 속 예방법

기온이 30도를 넘고 습도까지 높아지는 여름철에는 다음과 같은 생활 수칙을 반드시 지켜야 합니다.

  • 외출 자제: 가장 더운 시간대인 오후 12시~5시는 실외활동을 최대한 피하세요.
  • 수분 섭취: 갈증을 느끼기 전에도 미리미리 물을 자주 마셔주세요. 특히 고령자는 갈증 감지 능력이 떨어질 수 있습니다.
  • 가벼운 복장: 땀 배출이 잘 되는 면 소재의 밝은색 옷을 착용하고, 모자나 양산을 활용하세요.
  • 적절한 냉방: 실내 온도는 26~28도 정도로 유지하고, 냉방병 예방을 위해 주기적인 환기도 해주세요.
  • 무더위 쉼터 이용: 지역에서 제공하는 무더위 쉼터를 미리 확인하고, 주변에 알리는 것도 중요합니다.

특히 주의가 필요한 고위험군

온열질환은 모두에게 위험하지만, 특히 아래와 같은 고위험군은 각별한 관리가 필요합니다.

  • 노인: 체온 조절 능력 저하로 열사병 위험이 큽니다.
  • 영유아: 신체 발달이 완전하지 않아 체온이 급격히 오를 수 있습니다.
  • 당뇨병·심장질환자: 땀 배출이나 혈압 조절이 어려워 합병증 우려가 있습니다.
  • 야외 근무자: 햇볕 아래 장시간 노출되므로 2시간마다 15분 이상 쉬는 것이 좋습니다.

이들의 건강상태는 주변 가족과 이웃이 함께 체크하고 도와야 합니다.

응급 상황 발생 시 대처법

온열질환 증상이 나타났을 때는 신속한 대처가 생명을 살릴 수 있습니다.

  1. 서늘한 장소로 이동: 가장 먼저 그늘이나 실내로 환자를 옮기세요.
  2. 체온 낮추기: 얼음팩, 찬물수건, 부채 등을 사용해 피부를 식히세요.
  3. 수분 보충: 의식이 있는 경우, 이온음료나 물을 조금씩 천천히 마시게 합니다.
  4. 119 신고: 열사병 의심 시 즉시 응급서비스를 호출하세요. (의식 혼란, 땀 없음, 고열 등)

예방이 최고의 치료입니다

폭염은 단순히 불편함을 넘어서 건강과 생명에 직접적인 위협이 될 수 있습니다. 작은 실천이 중대한 사고를 막을 수 있으므로, 주변 사람들과 온열질환에 대한 정보를 공유하고 함께 준비하는 자세가 필요합니다.

에어컨이나 선풍기 같은 냉방 기기에만 의존하지 말고, 수분 섭취, 의복 조절, 활동 시간 조정 등 생활 속 실천을 통해 진짜 건강한 여름을 보내세요.

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자신의 몸 상태를 잘 관찰하고, 이상 징후가 보일 땐 즉시 대처하는 것입니다.

반응형